×

앱 설치 안내

리빌더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를 PC에 설치해보세요!
바탕화면에서 앱으로 실행할 수 있어요.

개선/제안

2025.07.12 12:31

앞전 링크 공유 제휴 글을 올려봅니다.

일명 제휴마케팅이라 합니다. 그 내용을 ai로 요약했습니다.

우선 짧게 요약 하자면
1. cpc : 공유한 링크 클릭 후 해당 페이지 접속만 해도 정산
-클릭만 해도 정산 & 클릭 후 해당 페이지에서 몇초 이상 머물시 등 
-리빌더 응용 : 맴버쉬, 부가서비스 등 홍보 할수 있는 링크 공유

2. cpa : 입력폼에 정보 입력 후 이벤트(강의, 상담, 교육 등등)신청시 정산
리빌더 응용 : 리빌더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링크 공유

3. cpj : 회원 가입, 설치(다운), 상품구매 등 했을시 정산
리빌더 응용 : 리빌더 서비스를 구매 또는 가입 할 수 있는 링크를 타고 들어와 구매 또는 가입 진행시 정산

정산 단가는 cpc<cpa<cpj 순으로 높아집니다. 이유는 클릭만해도<클릭후 이벤트 신청<구매로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.

위 기능은 마케팅과 더블어 사이트 활성화에 작지 않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. 

1. CPA (Cost Per Action)

■ 개념: 특정 **액션(행동)**이 발생했을 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. 여기서 '액션'은 단순히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을 넘어, 광고주가 원하는 유의미한 사용자 행동을 의미합니다.

■주요 액션 유형:

-회원가입: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 완료 시.

-앱 설치/실행: 사용자가 모바일 앱을 설치하고 첫 실행을 완료 시.

-상담 신청/DB 확보: 사용자가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문의를 남기거나 개인 정보를 제출 시.

-구매/결제 완료: 사용자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결제를 완료 시.

■개발 시 주요 고려사항:

-정확한 액션 정의 및 이벤트 트리거: 각 액션이 발생하는 시점을 명확히 정의하고, 해당 시점에 비용 발생 이벤트를 정확하게 트리거하는 로직 구현이 중요합니다. (예: 회원가입 완료 후 DB 저장 시점, 결제 완료 페이지 로딩 시점 등)

-중복 참여 방지: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번 액션을 발생시켜도 한 번만 비용이 발생하도록 하는 로직이 필요합니다. (예: IP, 디바이스 정보, 쿠키, 사용자 ID 등을 활용한 중복 검사)

-데이터 연동 및 API: 제휴사의 트래킹 시스템 또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액션 데이터를 주고받는 API 개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-리포팅 및 통계: 각 액션별 발생 건수, 전환율, 제휴사별 정산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 페이지 개발.

2. CPC (Cost Per Click)
■ 개념: 광고 클릭이 발생했을 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. 사용자가 광고 링크를 클릭하여 특정 페이지로 이동할 때마다 비용이 발생합니다.

■ 개발 시 주요 고려사항:
-클릭 트래킹: 제휴사 링크를 통해 유입된 클릭을 정확하게 카운트하는 로직이 필요합니다. (예: 고유한 트래킹 URL 또는 파라미터 사용)

-중복 클릭 방지: 일정 시간(예: 30초) 이내 동일 IP에서의 중복 클릭은 한 번으로 처리하는 등 어뷰징 방지 로직이 필요합니다.
-리포팅 및 통계: 클릭 수, 클릭률(CTR), 제휴사별 정산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 페이지 개발.

3. CPJ (Cost Per Journey) 또는 CDJ (Consumer Decision Journey)
■ 개념: CPJ는 CPA, CPC와 같이 특정 광고 모델의 비용 지불 방식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는 아닙니다. 아마도 소비자 여정(Consumer Decision Journey, CDJ) 전반에 걸친 데이터 추적 및 분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.

■ 개발 시 의미 (추정):
-이는 특정 '클릭'이나 '액션' 한 가지만을 추적하는 것을 넘어,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 내에서 어떤 페이지를 방문하고, 어떤 콘텐츠에 관심을 보이고, 어떤 경로를 통해 최종 전환까지 도달하는지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
-예를 들어,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여 유입된 후, 제품 페이지를 여러 번 방문하고, 장바구니에 담았다가, 며칠 뒤 최종 구매를 완료하는 일련의 과정 전체를 트래킹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.

■ 개발 시 고려사항 (CDJ 관점):
-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: 페이지뷰, 스크롤 깊이, 버튼 클릭, 양식 제출 등 사용자 행동에 대한 상세한 로그를 수집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.

-퍼널 분석: 사용자가 특정 목표(예: 구매)에 도달하기까지의 각 단계별 전환율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.
-데이터 시각화: 수집된 사용자 여정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마케터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대시보드 개발.
-세션 트래킹: 사용자의 세션 정보를 관리하고, 각 세션 내에서 발생한 행동들을 연결하여 분석.

■ 요약하자면,
-CPA: 사용자의 특정 최종 행동에 초점을 맞춰 비용을 정산합니다. (예: 구매, 가입)
-CPC: 사용자의 클릭에 초점을 맞춰 비용을 정산합니다.
-CPJ/CDJ: 특정 비용 정산 방식이라기보다는, 사용자의 전체적인 행동 흐름과 여정을 분석하여 마케팅 효율을 높이는 데 필요한 데이터 추적 및 분석 기능을 의미합니다.
  • 공유링크 복사
    미니홈 쪽지 구독하기
    구독하고 알림받기

    댓글목록

    profile_image
    profile_image
    리빌더미니홈 1:1 대화하기  11일 전

    감사합니다!
    차주 검토후에 회신한번 드리겠습니다.

    편안한 주말 되세요.

    2025-07-12 18:53